4일 소셜네트워크에는 이른바 ‘몸짱’들이 “‘실효성’ 있는 ‘형평성’ 있는 정책을 촉구합니다”라는 푯말을 들거나 문구를 적은 사진을 대거 올렸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의 일환인 실내체육시설 금지 정책에 반발하는 피켓 캠페인이었다. 인스트그램 id yeony_pila에는 "어쩔 수 없는 확산추세에 연장은 이해하지만, 한쪽으로 기울어진 피해는 제발 그만"이라고 댓글이 달렸다.
오성영 전국헬스클럽관장협회장은 이날 정부의 금지 방침에 불복, 헬스클럽의 문을 열었다.
정부는 지난 2일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와 비수도권의 2단계 조치를 오는 17일까지 연장했다. 일부 업종은 규제를 풀어줬다. 스키장·눈썰매장·빙상장은 인원을 3분의 1로 제한하는 선에서, 학원·교습소도 한꺼번에 9명을 넘지 않는다면 허용했다. 그러나 헬스장·실내 골프연습장·당구장 등은 잠긴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연말부터 금지 정책에 대한 반발은 컸다. 스크린 골프장 업주들은 지난해 12월 30일 “도저히 못 버틴다”라며 “방 하나에 2인 이하로라도 영업하게 해 달라”며 국회 앞 집회를 벌였다.
같은 날 필라테스·피트니스 사업자 연맹은 청와대 청원란에 “4월 첫 거리 두기 영업제한 정책부터 체육시설에만 강력한 잣대를 대고 집합제한 업종으로 분류했고, 결국 12월 거리 두기를 기점으로 많은 실내체육시설이 줄 도산할 위기”라며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달라”고 했다. 4일 오후 1시 현재 16만여 명이 동의했다. 청원자는 한국신용데이터의 소상공인 빅데이터를 인용, “2020년 11월 기준, 소상공인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스포츠업계 평균 21%, 실내체육시설은 14%에 불과하다”고 했다. 이 연맹 회원 153명은 같은 날 정부를 상대로 1인당 500만원씩 모두 7억 76500 만원의 손해 배상 청구 소송도 했다.
지난 1일 대구 헬스장에서 숨진 채 발견된 50대 관장 A 씨는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경찰은 추정했다. 대구에서 피트니스 클럽을 운영한다는 다른 회원은 인터넷 커뮤니티에 “신천지 때문에 두 달 문 닫고 힘들었는데 (또다시 금지해) 헬스 업계 곡소리 납니다”라며 “얼마나 힘들고 억울하셨으면 본인 헬스장에서 삶을 포기하셨을까요”라고 썼다.
금지 조치로 인해 수도권 5000개인 스크린 골프장에서 한 달 약 1500억 원의 자영업자 매출이 사라지게 된다. 수도권 실내 연습장은 약 3000개다. 서울 용산에서 실내 연습장을 운영하는 장 모 씨는 “가을에 2주, 또 6주 영업금지인데 한 달에 1000만원이 넘는 적자를 더는 견디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트레이너와 코치들은 사업자 등록을 안 한 경우가 많고, 지원금 대상이 아니어서 더 큰 문제다. 방배동에서 실내 연습장을 운영하는 김 모 씨는 “실직한 레슨 프로가 못 타는 오토바이를 타고 음식배달을 하다 사고가 났다는 얘기도 들었다”고 했다.
인터넷 중고시장엔 헬스장이나 필라테스 등 운동과 관련된 회원권을 양도한다는 글이 걸린다. 골프 업계에서는 “오랫동안 연습장에 안 가면 운동하는 습관 자체를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회원 수를 복구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걱정했다.
업주 및 트레이너 등은 “방역을 위해 꼭 닫아야 한다면 힘들어도 따르겠지만, 원칙이 없다. 정부의 자의적 지침 때문에 화가 난다”고 비판했다. 발레, 태권도 학원과 식당은 되는데 다른 운동 시설은 안 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것이다.
일산에서 스크린 골프장을 운영하는 황 모 씨는 “면적 대비 인원수와 방역지침 준수 여부, 불특정다수가 모이느냐의 여부에 따라 합리적으로 평가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청와대 청원에서는 “최근 연구에 의하면 수용인원을 20%로 제한하면 100% 연 것 대비 감염은 80% 이상 줄일 수 있고 실제 방문자 수는 58%를 유지할 수 있어 특정 업종을 죽이며 방역하는 것이 아닌 경제적 타격을 줄이며 방역을 지속하는 방법”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