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3건
축구

리버풀, 애스턴 빌라 꺾고 FA컵 32강 진출

리버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사령탑과 1군 선수들이 빠지면서 유스팀 선수들이 대신 나선 애스턴 빌라를 대파하고 잉글랜드축구협회(FA)컵 32강에 진출했다.리버풀은 9일(한국시간) 영국 버밍엄의 빌라 파크에서 열린 애스턴 빌라와 2020~21 FA컵 3라운드 원정에서 4-1 대승을 거두고 32강 진출에 성공했다.이날 경기는 애스턴 빌라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발생해 연기가 예상됐지만 그대로 강행됐다. 이 때문에 애스턴 빌라는 딤 스미스 감독을 비롯해 주전급 선수가 모두 빠져 1군 경기 경험이 없는 U-23팀 선수 7명과 U-19팀 선수 4명으로 베스트 11을 짜서 리버풀에 맞섰다.이에 맞선 리버풀 역시 일부 주전급 선수를 뺐지만 사디오 마네, 무함마드 살라흐, 조르지니오 바이날둠 등 핵심 선수들이 출전해 골 잔치를 벌였다.리버풀은 전반 4분 마네의 헤딩 선제골로 이른 득점에 성공했다. 애스턴 빌라는 전반 41분 루이 배리가 동점골을 성공시켰지만 더 이상 힘을 내지 못했다. 리버풀은 후반 15분 바이날둠의 골을 시작으로 후반 18분 마네, 후반 20분 살라흐가 연속골을 터뜨리며 4-1 대승으로 마무리 지었다. 최용재 기자 2021.01.09 08:42
경제

동아오츠카,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의료진에 오로나민C 기부

동아오츠카가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의료진들을 응원하기 위해 탄산드링크 오로나민C를 기부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기부는 보건복지부 #덕분에캠페인 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현장에서 불철주야 고군분투하고 있는 의료진들에게 감사의 마음과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진행됐다. KBL(한국농구연맹) 공식음료 후원사인 동아오츠카는 KBL 및 KBL 10개 구단과 함께 오로나민C 약 6만개를 기부했다. 기부된 오로나민C는 각 구단을 통해 구단 연고지역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 전달됐다. 이번 기부 취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KBL 10개 구단 선수들은 코로나19에 맞서 고생하는 의료진 격려 메시지 및 국민 응원 메시지를 KBL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공개 할 예정이다. 동아오츠카는 코로나19 현장에서 고생하는 의료진, 소방본부, 군부대 등을 위해 2020년 한 해 동안 총 6억 3천만원 상당의 음료 및 물품을 지속적으로 기부해왔다. 이진숙 동아오츠카 상무이사는 “날씨가 추워지며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 지역의 선별진료소 의료진들의 피로도도 누적되어가고 있다”며 “작지만 생기를 충전할 수 있는 오로나민C 기부를 통해 코로나19 의료진 지원을 위해 최선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1.08 10:51
야구

日 야구 코로나 비상, 신인왕 출신 무라카미도 확진

일본 프로야구가 비시즌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신음하고 있다. 일본 데일리뉴스는 7일 "야쿠르트 소속 내야수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전했다. 일본 미야자키 지역에서 개인 훈련 중이던 무라카미는 고열 증상에 피로감을 느끼며 검사를 받았고, 양성 판정을 받았다. 무라카미는 2019시즌 센트럴리그 신인상을 받은 특급 유망주다. 무라카미와 훈련한 아오키 노리치카, 니시우라 나오미치 등 야쿠르트 선수와 훈련을 도운 구단 직원 1명도 밀접 접촉자로 분류돼 자가 격리에 들어간다. 한신 소속 좌투수 이와타 미노루도 지난 6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구단 직원 1명도 감염됐다. 한신 구단은 "이와타는 현재 코 막힘 증세가 있지만 발열 등 다른 증세가 없어 자택에서 자가 격리 중이다. 구단 직원도 마찬가지다. 다른 밀접 접촉자는 없으며 구단 내 이들의 동선에 소독 작업을 마친 상태다"고 알렸다. 한신은 지난해 3월 주축 투수 후지나미 신타로 등 선수 3명이 방역 수칙을 여기고 파티를 열었다가 감염과 감염 전파를 하며 뭇매를 맞았다. 일본 프로 야구 내 확진자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에는 소프트뱅크 소속 투수 히가시하마 나오가 확진 판정을 받았고, 밀접 접촉자인 구단 직원도 추가 감염됐다. 지난 5일 지바 롯데 투수 이시카와 아유무도 고향(도야마 현) 방문 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 2021.01.07 15:06
무비위크

[박스오피스IS] "최악의 새해" 극장 관객수 3일 연속 1만 명 대

극장가가 최악의 신년을 맞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6일 극장을 찾은 총 관객 수는 1만 6620명에 불과했다. 4일부터 3일 연속 1만 명 대를 기록하고 있는 것. 특히 지난 4일 1만 4518명으로 역대 최저 관객 수를 경신한 후, 계속해서 비슷한 수치의 일일 관객 수를 나타내고 있다. 추운 날씨 만큼이나 극장가도 얼어 붙었다. 지난 12월 23일 개봉한 후 한 차례도 1위 자리를 놓친 적 없는 '원더 우먼 1984'도 1위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초라한 성적표를 받고 있다. 6일 관객 수는 겨우 4708명. 누적 관객 수는 47만 6787명으로, 50만 명 돌파도 힘겨운 상황이다. 지난 5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840명이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어려움으로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CGV 네 개 지점이 새해 들어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 아예 영업을 중단한 곳도 여럿이다. 문을 닫는 극장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앞서 한국상영관협회는 "영화관이 입점한 건물주들에게도 임대료 인하시 세금 혜택을 주는 등 임대료와 관련한 지원책에 영화관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호소한 바 있다. 박정선 기자 park.jungsun@jtbc.co.kr 2021.01.07 07:36
스포츠일반

’호주’오픈 예선을 도하-두바이에서 치르는 이유

'호주 오픈'이지만 예선전이 호주에서 열리지 않는다. 예선만큼은 '중동 오픈'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또 하나의 진풍경을 만들었다. 시즌 첫 테니스 메이저 대회인 호주오픈은 보통 1월 중순 개최된다. 올해는 평소보다 조금 늦은 2월 8일 개막해 약 2주간 치러질 예정이다. 개막일이 미뤄진 건 역시 코로나19 영향이 크다. 호주의 방역 정책상 입국자들은 의무적으로 2주간 자가 격리를 해야 하는데, 호주오픈 참가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이를 고려해 대회 개막을 미룬 것이다.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은 개막일을 늦춘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남자프로테니스(ATP) 투어와 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는 이번 호주 오픈 예선(10~13일)을 각각 카타르 도하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기로 결정했다. 메이저 대회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대회 예선이 개막 2~3일 전, 본선과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점을 고려하면 이색적인 결정이다. 더구나 예선 개최지가 본선 장소인 호주와 지구 반대편이나 마찬가지인 중동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머나먼 중동에서 호주 오픈 예선을 치르는 이유는 간단하다.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고,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위기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여름 코로나19 확진자 1만 명대를 유지하며 '청정국'으로 불렸던 호주는 2차 대유행으로 1만 명 이상이 추가 확진됐다. 6일 현재 확진자 2만 8532명, 사망자 909명을 기록 중이다.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까지 나오면서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이런 가운데 전세계에서 참가자가 몰려드는 호주 오픈이 열리는 만큼 보다 엄격한 관리가 필요해진 것이다. AP 등 외신은 "호주 정부가 대회 개최를 승인하면서 참가 가능한 인원을 1000명으로 제한했다. 선수들 역시 2주 간 자가 격리와 정기적인 코로나19 검사 조치에 따라야 한다"고 전했다. 대회 관련 입국자를 1000명으로 제한한 상황에서 많은 선수가 참가하는 예선까지 호주에서 치르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이를 위해 호주가 아닌 다른 국가에서 예선전을 치르는 방안이 제시됐고, 최근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등 국제대회를 개최한 카타르와 UFC가 열린 UAE에서 예선을 열기로 했다.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은 전세기를 통해 호주로 이동한다. 자가 격리를 마친 뒤 다섯 번의 코로나19 검사를 받아 음성 판정이 나왔을 경우 대회 출전이 가능하다. '중동 오픈'으로 치러지는 남녀 단식 예선에는 총 128명의 선수가 참가해 본선 출전권을 놓고 다툰다. 한국 선수 중에는 여자 단식 한나래(29·인천시청·세계 204위)가 두바이에서 열리는 예선에 나선다. 예선전에서 3세트 3경기를 이겨야 본선 진출이 가능하다. 남자 단식의 권순우(24·당진시청·95위)와 복식의 남지성(28·세종시청)-송민규(31·KDB산업은행) 조는 본선 진출이 확정됐다. 권순우는 5일 비대면 기자회견을 통해 "시즌 첫 메이저 대회인 만큼, 호주오픈에서 3회전까지 갈 수 있다면 앞으로 남은 메이저 대회에서는 더 큰 목표에 도전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김희선 기자 kim.heeseon@joongang.co.kr 2021.01.07 06:00
연예

코로나 확산으로···BTS 후보 오른 그래미 시상식 3월로 연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미국 최고 권위의 음악상인 그래미 시상식이 연기됐다. 5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그래미를 주관하는 미국 레코딩 아카데미는 오는 31일 열릴 예정됐던 제63회 시상식을 3월로 연기했다. 레코딩 아카데미는 당초 소규모 관객이 참여하는 야외 시상식을 계획했다. 하지만 행사가 열리는 로스앤젤레스(LA)에서 코로나가 급격히 확산하자 개최 연기를 결정했다. 현재 LA 카운티는 코로나 누적 확진자가 82만명을 넘었고, 총 사망자는 1만여명에 달한다. 한편 이번 그래미 시상식은 방탄소년단(BTS)이 최초로 그래미 트로피를 움켜쥐는 자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에서도 큰 관심을 모았다. 지난해 ‘다이너마이트’로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을 차지한 방탄소년단은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2021.01.06 09:26
축구

영국 봉쇄 조치 속에 EPL서도 시즌 최다 40명 코로나19 확진

(서울=연합뉴스) 배진남 기자 =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에서 이번 시즌 들어 최다인 40명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추가로 나왔다.EPL 사무국은 5일(이하 현지시간) 홈페이지에 "지난해 12월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EPL 구단 선수와 구단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코로나19 진단 검사에서 40명이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알렸다.지난달 28∼31일 1천311명을 대상으로 한 진단 검사에서 28명이 확진됐고, 새해 들어 지난 1∼3일 984명이 받은 검사에서 12명이 더 양성 결과를 받아들었다.올 시즌 EPL의 누적 확진자 수는 171명으로 늘었다.확진자는 10일간 자가 격리에 들어간다.EPL은 2020-2021시즌을 치르며 20개 전 구단 선수와 직원을 대상으로 매주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하고 있으며 이번이 18번째다.검사 건수가 많긴 했지만 한 주 동안 40명의 신규 확진자는 올 시즌 최다다.종전에는 지난달 21∼27일 1천47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17차 검사에서 18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게 가장 많은 수치였다. 그러나 1주 새 확진자가 두 배를 훌쩍 넘어섰다.이 기간 맨체스터 시티(맨시티)와 풀럼 구단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에버턴-맨시티, 토트넘-풀럼, 번리-풀럼전 세 경기가 연기되기도 했다.이에 일부 EPL 팀 감독들이 리그의 '일시 중단'을 요청했지만, EPL 사무국은 '시즌 중단은 없다'는 방침을 고수했다.영국 정부도 4일 자국의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세계적 대유행 이후 최대치인 5만8천784명으로 집계되는 등 확산세가 멈추지 않자 3차 봉쇄조치를 발표했으나 EPL 등 프로스포츠 종목과 '엘리트 스포츠'는 봉쇄 대상에서 제외했다.EPL 내 확진자가 크게 늘면서 리그 강행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hosu1@yna.co.kr(끝) 2021.01.06 09:23
야구

로하스·알칸타라, 코로나에 직격탄…스프링캠프 합류 '불투명'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지면서 일본프로야구 구단과 계약한 '새 외국인 선수'도 타격을 입었다.일본 닛칸스포츠는 6일 "한신 타이거스의 새 외국인 선수 멜 로하스 주니어와 라울 알칸타라의 스프링캠프 합류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전했다.다니 오사무 한신 구단 본부장은 "신규 외국인 비자 발급이 중단된 상태다. 현 상황에서는 2월에 열리는 스프링캠프에 로하스와 알칸타라가 합류 여부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일본 정부는 지난해 말 '모든 국가와 지역에서의 외국인 신규 입국을 작년 12월 28일부터 이달 말까지 일시 정지한다'고 발표했다.이번 달에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크게 늘고 있다.일본 공영방송 NHK는 "5일 기준 일본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천915명이다"라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7일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선포할 예정이다.2021년 일본프로야구에서 새 출발 하려는 외국인 선수들은 직격탄을 맞았다.다니 본부장은 "지난해 일본에서 뛴 선수들은 취업 비자 유효 기간이 남아 있어서, 입국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새롭게 일본 리그에 오는 선수들의 비자 발급은 현재로서는 쉽지 않다"고 전했다.그는 "야구와 세상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 당연히 구단은 정부 방침을 따를 것이다"라고 덧붙였다.한신은 2020년 한국프로야구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 멜 로하스 주니어와 다승 1위 라울 알칸타라를 영입하며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로하스와 알칸타라 없이 일본 오키나와 스프링캠프를 시작할 수도 있다. 일본프로야구는 2월 1일부터 스프링캠프를 시작한다.신규 외국인 선수 입국 제한으로 고심하는 구단은 한신뿐이 아니다.KBO리그 MVP 출신이자, 올해까지 빅리그에서 뛴 에릭 테임즈를 영입한 요미우리 자이언츠도 같은 고민을 안고 있다.jiks79@yna.co.kr(끝) 2021.01.06 09:22
스포츠일반

백신 믿고 도쿄올림픽 강행? 깊어지는 일본의 고민

도쿄올림픽 개막(7월 27일) D-200(4일)을 즈음해 대회 개최 여부가 또다시 글로벌 이슈로 떠올랐다. 코로나19 상황은 여전히 암울한데, 일본 정부와 조직위원회의 대회 강행 의지는 여전하다. 일본 NHK는 5일 “정부가 이르면 7일 수도권 4개 지역(도쿄도, 사이타마·지바·가나가와현)에 한 달간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선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일본이 지난해 4월 이후 9개월 만에 다시 긴급사태를 발동하는 이유는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 이후 매일 3000명대 추가 확진자가 쏟아지고 있다. 누적 감염자 수는 25만 명까지 치솟았다. 심각한 상황에서도 올림픽과 관련한 입장은 변화가 없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1일 “올여름,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개최해 세계 단결의 상징으로 만들 것”이라고 선언했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사흘 뒤인 4일 “어떻게든 (올림픽을) 개최한다. 100년 전 스페인 독감이 대유행한 이후 열린 1920 앤트워프올림픽이 롤모델”이라고 말했다. 일본 국민은 회의적 반응이다. 지난달 NHK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3%가 “올림픽 취소 또는 재연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두 달 전 조사보다 부정 여론이 15% 상승했다. 그런데도 일본 정부가 대회를 강행하려는 건 천문학적으로 투입한 비용 때문이다. 일본 간사이대 연구에 따르면, 올해 무관중으로라도 올림픽을 치를 경우 예상 손실액은 1조4000억엔(15조원) 안팎이다. 취소할 경우 손실액이 4조5000억엔(50조원)까지 치솟는다.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재정적자가 심각한 일본 정부 입장에서 ‘열지 못한 잔치’로 50조원의 빚은 재앙이다. 일본 정부와 조직위는 백신 보급에 따른 집단 면역에 기대를 건다. 다음 달 말부터 시작해 올해 상반기 중 원하는 국민 모두에 대해 접종을 마친다는 구상이다. 집단면역 형성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 본선 준비 과정에 선수 안전을 보장할 장치가 마땅치 않은 것도 문제다. 대회 기간 못지않게 종목별 예선을 치르는 1~5월 전 세계 코로나 상황도 중요하다. 도쿄올림픽 본선 엔트리 1만1000여명 중 일찌감치 출전이 확정된 선수는 전체 57%다. 핸드볼·복싱·레슬링·체조 등은 예선을 치르지 못했다. 개최국 자격으로 전 종목 자동 출전권을 보장받은 일본조차 33개 종목 600명으로 꾸릴 선수단 중 13개 종목 117명만 뽑은 상태다. 여전히 코로나가 기승인 데다, 변이 바이러스까지 등장한 상황. 전 세계 선수가 한자리에 모일 종목별 예선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치를지 결정하기도 쉽지 않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갈팡질팡한다. 지난해 11월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올림픽 참가 선수에게 의무적으로 코로나 백신을 맞게 하겠다”고 말했다가 거센 비판에 부딪혔다. 일부 국가와 선수가 “백신이 경기력에 미칠 영향이 검증되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결국 바흐 위원장은 “(백신 접종 여부는) 자율적 판단에 맡기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어떻게든 대회가 열려도, 만에 하나 취소 사태가 벌어져도, 후폭풍이 불가피한 상황. 일본 정부와 IOC는 깊은 코로나 수렁에 빠진 채 고민만 깊다. 송지훈 기자 milkyman@joongang.co.kr 2021.01.06 08:50
무비위크

새해에도 조용한 극장…주말 일일관객수 5만↓

새해가 밝았지만 특별한 변화는 없다. 연말이나 연초나 똑같이 조용하게 흘러가는 극장 분위기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1월 1일 신정부터 2일과 3일 주말 기간동안 극장을 방문한 총 관객 수는 14만9955명으로 나타났다. 1일에는 6만749명이 극장을 찾아 휴일 움직임을 가늠케 했지만, 2일과 3일에는 각각 4만9020명, 4만186명이 영화를 관람, 주말 일일관객수는 변동없이 5만 명 이하를 유지했다. '원더 우먼 1984' 외 특별한 신작이 없느데다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지속되면서 정상화는 한 걸음 또 멀어졌다. 이에 따라 1월 개봉을 계획했던 작품들도 쉽게 관객과의 만남을 추진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늦춰진만큼 기다릴 때까지 기다려 보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3일 개봉한 '원더 우먼 1984'도 크리스마스와 신정을 모두 보냈지만 46만1434명을 누적하는데 그쳤다. '원더 우먼 1984'의 처참한 성적에 개봉을 강행하는 작품은 더욱 없을 터. 좀처럼 숨통이 트이지 않는 영화계가 언제쯤 다시 활기를 띌지, 매일 관객 수보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를 더 먼저 확인하게 된 영화계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2021.01.04 07:5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