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야구

12년 만에 가을야구도 커리어하이도, LG 최동환의 특별했던 2020년 행복

LG 최동환(32)은 2020년을 돌아보며 "정말 잊을 수 없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서른 살을 훌쩍 넘겨 드디어 프로 무대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각인한 해였다. 최동환은 2009년 2차 2라운드 13순위로 LG에 입단한 우완 기대주였다. 첫 시즌 38경기 등판 기록이 당시 기대감을 증명한다. 하지만 이후 10년 동안 2009년 등판을 기록을 경신하지 못했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구원 등판만 164차례 해서 6승 3패 9홀드 3세이브 평균자책점 5.93을 기록했다. 롱릴리프 혹은 추격조가 그의 임무였다. 스프링캠프에서 그는 늘 "1군에서 좋은 활약이 기대된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캠프에서 가장 많은 공을 던지는 LG 투수이기도 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정작 개막 후 1군 마운드에 오르면 캠프 때 위용을 보여주지 못했다. 2020년, 최동환은 화려하진 않아도 꾸준했다. 개인 한 시즌 최다인 54경기 등판, 57이닝을 던졌다. 4승 4홀드. 평균자책점은 데뷔 후 가장 낮은 3.47을 기록했다. 눈에 띄는 성적은 아니지만, 지난 11년과 비교하면 분명 한 단계 도약했다. 시즌 중반부터 필승조 등판도 잦아졌다. 그는 "잊을 수 없는 시즌이었다. 데뷔 후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는 시즌이 반복됐다. 지난 시즌은 아주 좋은 성적을 낸 건 아니지만, 내가 목표로 했던 것은 어느 정도 달성했다"고 기뻐했다. 잊을 수 없는 순간은 이뿐만이 아니다. 가을 야구 무대를 처음 밟았다. 지난해 11월 2일 키움과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2-2 동점이던 연장 11회 말 무사 1루에서 마운드에 오른 그는 박병호와 김하성 등 중심 타자를 삼진과 내야 땅볼로 잡아내며 포스트시즌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는 "프로 12년 만에 처음으로 가을 야구를 경험했다. 운 좋게 잘 막았던 것 같다"라며 "그때 그 순간은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달라진 비결은 마음가짐이었다. 그는 "기술적인 부분보다 정신적으로 부담감을 내려놓은 것이 가장 좋아진 점"이라며 "코치님과 계속 대화하면서 내 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려고 했다. 마운드에서 많은 생각을 하지 않고, 오직 스트라이크 존만 보고 던지려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감격스러운 시즌을 보낸 최동환은 동료들에 대한 고마움도 표현했다. 그는 "포수 유강남과 나를 도와준 야수들에게 감사하다. 내가 위기 상황을 만들고 마운드를 내려온 적이 많았데, 정우영과 고우석이 잘 막아줬다. 고맙고 미안한 마음이다"고 했다. 이어 "팬들이 항상 과분한 사랑을 주셨다. 그동안 보답하지 못해 죄송했다. 올해는 마운드에서 더 자신 있고 당당하게 던지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 우리 팀의 마지막이 아쉬웠기 때문에 올해는 팀이 더 높은 곳으로 갈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각오를 다졌다. 이형석 기자 2021.01.07 06:00
야구

수술·재활 끝에 데뷔한 LG 이정용, 2021년은 '빌리버'

LG 이정용(25)은 2019년 대졸 1차 지명 투수다. 입단과 동시에 오른 팔꿈치 인대접합 수술을 받아 LG 유니폼을 입고 1년 6개월이 지나서야 1군 무대에 섰다. 2020년 뜻깊은 1군 데뷔전을 치른 그는 그 경험을 바탕으로 2021년 도약을 꿈꾼다. 이정용은 지난해 7월 24일 잠실 두산전에서 프로 데뷔 첫 등판, 2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이틀 뒤인 7월 26일 첫 홀드를 올렸고, 8월 1일 데뷔 첫 승리까지 챙겨 필승조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감격스러운 첫 등판을 떠올리며 "오랜 재활 훈련을 하며 잠실야구장 마운드에 서는 걸 항상 상상했다. 그래서 데뷔전이 가장 기억에 많이 남는다"며 "마운드에 오르면서 여러 생각이 들었다. 정말 기뻤다. 재활 훈련 때 힘들었던 순간들이 생각났고, 그 기억을 떨치려고 마운드에서 공을 던졌다"라고 돌아봤다. 이정용은 LG 마운드의 유망주다. 2019년 10개 구단 1차 지명 선수 가운데 유일한 대졸 출신이다. 수술로 한 시즌을 건너뛰었지만, 2020년 구단의 기대에 응답하며 가능성을 선보였다. 2020년 최종 성적은 34경기에서 3승 4홀드 평균자책점 3.71을 기록했다. 7월 말 데뷔 첫 1군 등록 후 정규시즌 종료 때까지 엔트리에 남았고, 포스트시즌 무대도 밟았다. 2021년 그의 각오는 새 등장 곡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2019년 입단 동기이자 신인상 출신 정우영의 추천으로 지난해 '찐이야'라는 트로트 곡을 사용했지만, 올 시즌엔 팝송인 '빌리버(Believer)'로 교체했다. 그는 "나를 믿고 싶다는 의미에서 이 곡을 선곡했다"라고 밝혔다. 프로 첫 시즌을 통해 자신감도 쌓았고, 부족한 점도 확인했다. 이정용은 시속 140㎞ 중반대 직구를 앞세워 이닝당 1개에 가까운 탈삼진(34이닝 33개)을 뽑아냈다. 그는 "내 직구가 프로에서도 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다만 가장 자신 있었던 제구력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지난 시즌은 기술 훈련을 많이 하지 못 해서 한계가 있었던 것 같다. 새해에는 더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며 "복귀 후 첫 시즌에는 예민하고 조심스러웠지만, 지금은 아주 좋다. 준비를 잘하고 있어서 2021시즌은 정말 기대가 된다"라고 표현했다. 이정용은 이어 "아무래도 중간 투수여서 위기 상황에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삼진을 잡을 수 있는 나만의 결정구를 가지고 싶다. 떨어지는 변화구가 좋을 것 같다"는 목표도 언급했다. 다가오는 시즌은 출발부터 함께하고 싶은 마음이다. 그는 "지난해는 시즌 중반부터 던졌다. 2021년에는 관리를 잘해서 개막부터 던지는 게 가장 큰 목표다. 팀이 내가 필요한 곳이면 어느 보직에서든 던질 것이다. 그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형석 기자 2021.01.04 06: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