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생활/문화

LGU+, 5G·LTE 요금 결합 서비스 출시…지인도 가능

LG유플러스는 5G·LTE·인터넷 요금 결합 서비스 ‘U+투게더’를 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회사 측은 “가족을 비롯해 지인까지 결합이 가능한 서비스는 5G·LTE 시장에서 처음이다”고 말했다. U+투게더는 통신 요금을 묶을수록 할인이 커진다. 5G·LTE 무제한 요금제로 가입 가능하다. 결합은 최대 5명까지 할 수 있다. 할인액은 2인 결합 시 각 1만원, 3인 시 각 1만4000원, 4~5인은 각 2만원으로 결합 인원이 많을수록 할인액도 올라간다. 여기에 ‘선택약정’ 25% 할인과 LG유플러스의 ‘LTE요금그대로약정’ 5250원 할인이 더해지면 총 할인액은 더 커진다. 4인 결합을 한 5G 무제한 요금제(월 8만5000원) 고객의 경우 결합(2만원) + 선택약정(2만1250원) + LTE요금그대로약정(5250원)으로 총 4만6500원을 할인받아 월 3만8500원에 월정액을 쓸 수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8만원대의 5G 무제한 요금제를 월 3만원대로 사용하게 된다”고 말했다. 청소년의 경우 5G 무제한을 2만원대에 쓸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는 오는 4월말까지 U+투게더 결합하는 가입자 중 청소년 고객에게 월 1만원의 추가 할인을 제공한다. 청소년 할인은 별도의 신청이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 고객 중 18세 이하 가입자에게 자동 적용된다. 혜택은 모바일 2인 이상 결합 시 받을 수 있으며, 대상자가 만 20세가 되기 전까지 유지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U+투게더 결합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무제한 요금제 3종도 신설했다. ‘5G 프리미어 에센셜’은 월 8만5000원에 5G 데이터 무제한, 쉐어링·테더링 데이터를 각각 15GB 제공하는 요금제다. 5G 요금제와 동일한 명칭의 LTE 무제한도 내놓았다. ’LTE 프리미어 플러스’는 월 10만5000원에 LTE 데이터가 무제한이며, 쉐어링·테더링 데이터는 각각 50GB씩 서비스한다. ’LTE 프리미어 에센셜’은 LTE 무제한, 쉐어링·테더링 데이터는 각각 15GB로 구성됐다. U+투게더 결합은 새롭게 출시한 무제한 요금제 3종과 기존 무제한 요금제 4종을 통해 쓸 수 있다. 5G에서는 시그니쳐, 프리미어 슈퍼·플러스·레귤러·에센셜 5종이 해당되며, LTE에서는 프리미어 플러스·에센셜 2종으로 가능하다. U+투게더는 모바일뿐만 아니라 인터넷 결합도 제공한다. 500M 이상의 U+인터넷 서비스 12종을 함께 결합할 수 있으며, 최대 월 1만1000원씩 3회선까지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인터넷 결합은 모바일 고객 5인 외의 명의로도 가능하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1.01.10 17:57
생활/문화

이통사, 신축년 5G 요금 인하 경쟁 본격화

이동통신 3사가 5G 요금제 가격을 잇달아 낮추며 신축년 가입자 유치 경쟁에 나섰다. LG유플러스는 4만~5만원대 중저가 5G 요금제 2종을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선택약정 할인을 적용하면 월 3만원대에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오는 11일 나오는 '5G 슬림+'는 월 4만7000원(이하 부가세 포함)에 5G 데이터 6GB를 쓸 수 있다. 데이터를 모두 사용한 뒤에는 400Kbps의 속도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400Kbps는 메시지 송수신, 간단한 웹 검색이 가능한 속도다. 선택약정으로 가입하면 25% 할인받아 월 3만5250원만 내면 된다. 또 '5G 라이트' 요금제는 29일부터 기본 제공 데이터를 33% 늘린 '5G 라이트+'로 새롭게 선보인다. 월 5만5000원에 쓸 수 있는 데이터를 9GB에서 12GB로 늘렸다. 1GB당 4583원으로 5만원대 이하 5G 중저가 요금제 중 최저 수준이다. 데이터 소진 시 1Mbps의 속도로 서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1Mbps는 일반 화질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수준의 속도다. 선택약정 할인을 적용한 요금은 월 4만1250원이다. 회사 관계자는 "5G 중저가 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며 "요금제가 저렴해진 만큼 보급형 5G 단말기와 연계한 '라이트 유저'도 확산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자급제 고객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전용 요금제를 제외하고 중저가 5G 시장의 포문을 연 곳은 KT다. 이 회사는 지난해 10월 5G 중저가 요금제 2종을 내놨다. '5G 세이브'는 월 4만원대로 데이터를 많이 쓰지 않는 고객을 위한 요금제다. 매월 5GB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기본 제공량을 소진하면 최대 400Kbps의 속도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월 4만5000원이며, 선택약정 할인을 받으면 월 3만3750원만 부담하면 된다. '5G 심플'은 월 6만9000원으로 선택약정 할인 시 5만1750원이다. 매월 110GB의 데이터를 쓸 수 있고, 기본 데이터를 사용한 후에는 5Mbps의 속도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5Mbps는 HD급 영상을 원활하게 볼 수 있는 속도다. 업계 1위 SK텔레콤은 지난달 말 기존 대비 30%가량 저렴한 5G 온라인 전용 요금제 출시 신고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월 3만원대에 데이터 9GB, 5만원대에 데이터 200GB를 제공하는 5G 요금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전용이라 요금·결합 할인은 불가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0년 11월 기준 국내 5G 서비스 가입자는 1093만2363명이다. 5G 가입자 점유율은 SK텔레콤 46%, KT 31%, LG유플러스 23%의 순이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05 12:10
생활/문화

LGU+, 4만원대 5G 요금제 출시…가격 낮추고 데이터 늘리고

LG유플러스가 4만원대 5G 요금제를 선보이며 새해 요금 경쟁에 나섰다. LG유플러스는 4만~5만원대 중저가 5G 요금제 2종을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신규 요금제는 가격이 저렴해지고 데이터 용량은 늘었다. 오는 11일 나오는 '5G 슬림+'는 월 4만7000원(이하 부가세 포함)에 5G 데이터 6GB를 쓸 수 있다. 기본 제공 데이터 소진 후에는 400Kbps의 속도로 무제한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선택약정을 적용할 경우 월 3만5250원으로 25% 할인을 받을 수 있다. '5G 라이트' 요금제는 29일부터 기본 제공 데이터를 33% 늘린 '5G 라이트+'로 새롭게 선보인다. 월 5만5000원에 제공하는 데이터를 월 9GB에서 12GB로 늘렸다. 1GB당 4583원으로 5만원대 이하 5G 중저가 요금제 중 최저 수준이다. 데이터 소진 시 1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무제한 지원한다. 선택약정 할인 시에는 월 4만125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컨슈머사업혁신그룹장은 "중저가 요금제 신설로 가계통신비 인하에 기여하고, 동시에 5G 시장을 보다 확산하고자 했다"며 "앞으로 특화 요금제·결합상품 등으로 요금 혁신을 연이어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05 09:20
생활/문화

KT엠모바일, 대표 요금제 가입하면 데이터 최대 100GB 증정

KT엠모바일은 새해를 맞아 '데이득(데이터+이득) 프로모션'을 1월 한 달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데이득 프로모션은 KT엠모바일 대표 요금제 7종에 최대 월 100GB의 데이터를 추가로 주는 행사다. 주력 고용량 요금제 '모두다 맘껏 11GB+(월 3만2980원)'에는 매월 100GB 추가 데이터를 지원한다. 신규 가입자는 월 최대 171GB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매월 15GB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요금제 '데이터 맘껏 15GB+/100분'(월 2만5300원)'에는 50GB를 추가 증정한다. 월 10GB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요금제 '데이터 맘껏 10GB+/100분(월 2만3100원)', 'L.POINT 10GB USIM(월 2만2000원)', '데이터 많이 10GB/100분(월 1만9800원)' 등 3종에는 10GB 데이터를 무료 제공한다. 2만원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혜택도 강화했다. KT엠모바일은 알뜰폰 활성화를 위해 고용량 데이터 요금제 외에도 저가형 상품인 '데이터 맘껏 250MB+/100분(월 1만2500원, 데이터 250MB)'과 '데이터 맘껏 1GB+/100분(월 1만4300원, 데이터 1GB)' 등 2종에 월 2GB 데이터를 가입 기간 내내 추가로 지원한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04 10:37
연예

'라방'에 빠진 이통사, 홈쇼핑 자리 넘본다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쇼핑 수요가 늘자 국내 이동통신 3사가 발 빠르게 대응하고 나섰다. 강점인 모바일 플랫폼을 앞세워 소비자와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라이브 커머스를 잇달아 선보이며 홈쇼핑의 자리를 넘보고 있다. 라이브 커머스(라이브 방송 또는 라방)는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경제가 부상하면서 이커머스 업체는 물론이고 IT 업체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의 자회사 11번가는 지난해 '참치 해체쇼', '트로트 공연', '제주 귤밭 라이브방송' 등 이색 콘텐트로 소비자의 눈길을 끌었다. 11번가 라이브 방송은 작년 약 100회 이상 진행했으며, 현재는 하루 두 차례씩 고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제품 리뷰에 동영상을 함께 올리는 '꾹꾹'은 고객 신뢰도 증대에 큰 역할을 했다. 연관 거래액은 2020년 1~5월 대비 6~10월 약 2.4배 증가했다. 등록된 동영상 리뷰는 31만개를 넘어섰다. KT는 라이브 커머스 채널로 자사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인 '시즌'을 택했다. 시즌의 '쇼핑라이브'는 모바일에 최적화된 세로형 라이브 커머스 방송이다. 이용자와 판매자(MD)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구매, 결제까지 가능하다. 시즌의 홈 화면 배너로 접속하면 이용할 수 있으며, 상품 구매를 원하는 경우 시청 중 '구매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KT는 이번 서비스 론칭을 위해 현대홈쇼핑, GS홈쇼핑과 제휴를 맺었다. 신세계TV쇼핑, KTH와 콘텐트 제휴도 논의 중이다. 향후 홈쇼핑사와 협력해 '콘텐트+커머스' 분야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LG유플러스는 통신사에서는 처음으로 지난해 7월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진행했으며, 첫 방송 누적 조회 수 12만회를 기록하는 성과를 냈다. LG유플러스는 요금제 가입 방식과 단말 배송 등에서 고객에게 온라인 구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언택트·디지털 채널 혁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고객이 직접 개통할 수 있는 U+키오스크, 휴대폰 당일 배송 등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와 함께 라이브 커머스 '유샵 Live'를 공개했다. 유샵 Live는 매주 화요일, 금요일 저녁 8시에 온라인 직영몰 유샵에서 통신 상품을 실시간으로 판매한다. 방송 시청 중 가입 신청도 할 수 있어 구매 편의성이 높고 다양한 정보 제공, 실시간 문의 답변 등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온라인 구매 경험을 제공한다. 온라인 쇼핑은 코로나19 확산 전부터 이미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다. 이런 변화는 우리나라 방송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19년 말 기준 지상파의 총매출액은 전년 대비 7.4% 감소한 약 3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홈쇼핑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6.2% 증가한 약 3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홈쇼핑이 지상파의 매출 규모를 뛰어넘은 것이다. 올 상반기부터 코로나19 백신, 치료제의 보편화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비대면 쇼핑 수요는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10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20% 늘어난 14조2445억원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 쇼핑은 22.9% 증가한 9조5355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소비자의 콘텐트 소비 경험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온라인에서 모바일로 옮겨가는 추세를 고려하면, 조만간 홈쇼핑과 이통 3사, IT 업계 간 라이버 커머스 경쟁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국내 라이브 커머스 시장은 올해 4조5000억원에서 2022년 6조원, 2023년 8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길준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01.04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