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연예

[초점IS] '1박2일' 시즌4, 무르익은 케미 쐐기 박을 신축년

KBS 2TV '1박 2일' 시즌4가 안정세를 탔다. 불안했던 방송 초기를 넘어 제작진과 출연진의 케미스트리가 무르익었고 그것이 활짝 만개할 시기를 맞았다. 'KBS 간판 프로그램'으로서 쐐기를 박을 신축년이 밝았다. '1박 2일'은 지난 2019년 3월 최대 위기를 맞았다. 12년 장수 예능 프로그램이 가수 정준영의 품앗이 논란으로 프로그램 방송 및 제작이 중단됐다. 2007년부터 굳건하게 KBS 주말 예능의 중심축을 다져왔던 예능이 한순간 문을 닫았고 실망한 시청자들은 폐지 청원까지 했다. 명예회복을 다짐한 KBS는 같은 해 12월 '1박 2일' 시즌4를 론칭했다. 기존 멤버는 가수 김종민 하나, 나머지는 새롭게 세팅했다. '1박 2일' 시즌 처음으로 여성 PD인 방글이 PD를 메인으로 세웠다. 여기에 개그맨 문세윤과 가수 딘딘·라비, 예능 샛별 배우 연정훈과 김선호가 가세했다. 리얼 버라이어티에 익숙하지 않은 인물들을 조합시켜 하나의 팀으로 꾸렸다. 프로그램이 기존 가지고 있던 명성답게 15%라는 높은 시청률로 시작을 알렸지만 한 자릿수대로 떨어진 시청률은 좀처럼 회복할 줄 몰랐다. 10% 내외에서 오가며 화제성이나 시청률 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가진 날 것 그대로의 복불복 콘셉트, 멤버들에서 나오는 차진 케미스트리가 무르익으며 '1박 2일' 특유의 재미가 다시금 살아났다. 캐릭터가 확실해졌다. 진행자 역할에 예능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문세윤·멤버들에게 놀림당하기 일쑤인 딘딘·지독한 열정과 집념을 가진 맏형 연정훈·바보인 듯 보이나 천재인 베테랑 김종민·누구보다 열심히 하나 성과가 없어 씁쓸한 라비·거침없이 망가지는 얼굴 천재 김선호가 뭉쳐 주말 안방극장의 배꼽을 잡고 있다. 이전보다 젊어졌고 에너지 넘쳐나는 분위기로 변화, 시청자들 사이에서 호감 지수가 높아졌다. 배우 김선호가 대세로 발돋움한 것 역시 '1박 2일'에 득이 됐다. 시청률은 안정세를 찾았다. 12~13%대를 오가며 탄탄한 고정 시청층을 확보했고 이들이 추진하는 프로젝트나 게임도 시청자들의 열띤 관심 속 진행되고 있다. 여러모로 긍정적 요인들이 몰려오며 '1박 2일' 시즌4는 '2020 KBS 연예대상'에서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1박 2일' 시즌4 방글이 PD는 "어려움이 많았는데 쉼 없이 달려올 수 있었다는 것 자체가 큰 축복이었다. 지치는 순간들이 있었지만 매주 같은 시간 우리 프로그램을 기다려주는 시청자분들이 격려해줬다. 사실 멤버 대부분이 리얼 버라이어티는 처음인 '초짜'들이었다. 김종민 역시 '신난 바보'가 아닌 '간헐적 에이스'로 끊임없이 성장하는 것처럼 다방면에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 게 특징인 것 같다. 멤버들이 진심으로 참여해줘 고맙다"면서 앞으로도 초심을 잃지 않고 프로그램을 이끌어나가겠다는 포부를 다졌다. 황소영 기자 hwang.soyoung@jtbc.co.kr 2021.01.05 08:00
축구

박진섭 감독과 기성용의 약속 "명예회복"

"2021년에는 더 좋아진 서울을 볼 수 있을 겁니다." 2021시즌 FC서울의 지휘봉을 잡은 박진섭 감독이 전한 약속이다. 지난해 12월 5일, 서울의 제13대 감독으로 선임된 박진섭 감독은 4일 경기도 구리 GS챔피언스파크에서 선수단과 만나 첫 훈련에 나섰다. 취재진과 만난 박진섭 감독은 "변화된 모습으로 좋은 경기를 보여드리겠다. 서울이 있어야 할 위치는 상위권이다. 전북 현대와 울산 현대의 강력한 라이벌이 될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지난 시즌 서울은 힘든 시간을 보냈다. 최종 성적 9위(8승5무14패·승점29). 승강 플레이오프까지 치러야 했던 2018년보다는 나은 편이었지만, 팀 안팎으로 갈등과 악재가 끊이지 않았다. 강등권까지 떨어진 성적으로 인해 최용수 감독이 지휘봉을 내려놓았고, 대행을 맡아 팀을 이끌던 김호영 수석코치도 파이널 A(1~6위) 진입에 실패한 뒤 차기 감독 선임 과정에서 의견이 엇갈려 사임했다. 이어 박혁순 코치가 '감독대행의 대행'을 맡아 시즌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11월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는 P급 지도자 라이선스를 소지한 이원준 스카우트가 '감독대행의 대행의 대행'을 맡아 지휘하기도 했다. 차기 감독 선임에 신중할 수 밖에 없었던 서울이 선택한 카드는 광주 FC를 창단 후 첫 파이널 A 진출로 이끈 박진섭 감독이었다. 그는 "광주에서 내 역할은 거기까지라고 생각했다. 서울이 지금은 침체되어 있지만, 한국을 대표하는 구단으로 만들고 싶었다.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서울 지휘봉을 잡은 이유를 설명했다. 박진섭 감독은 이어 "선수 구성과 팀 운영 방향에 대해 구단과 많이 얘기했다. 서울에서 잘해왔던 고참 선수들, 어리지만 가능성 있는 선수들의 조화에 신경 쓸 생각"이라며 "지난해에는 좋지 않은 소식들이 많았다. 올해는 팬들에게 기쁘고 즐거운 소식을 들려드릴 수 있도록 선수들과 함께 노력하겠다. 달라진 서울을 보실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의욕에 넘치는 건 박진섭 감독만이 아니었다. 이날 훈련에 참가한 기성용 역시 명예회복을 다짐했다. 지난 시즌 우여곡절 끝에 서울 유니폼을 입은 기성용은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많이 나서지 못했다. 팀의 부진을 지켜봐야 했던 그는 "개인적으로 2020년은 힘들었다. 부상이 많아서 팀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며 "이번 시즌은 준비를 잘해서 서울의 위상을 다시 찾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절친' 이청용(울산 현대)이 ACL에서 우승한 것도 그에겐 큰 동기부여가 된다. "안 그래도 요즘 (이청용에게) 연락이 많이 오더라"고 운을 뗀 기성용은 "한국 축구의 위상을 높였다는 차원에서 울산의 우승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청용이도 부상으로 고생이 많았다. 친구로서 축하해주고 싶다"며 "ACL에 나가진 못하지만 이번 시즌에 대한 동기부여가 된다. 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성용은 "팬과 선수들 모두 지난 시즌을 돌아보면 아쉬운 점이 많았다. 지금 위치는 서울이라는 팀에 전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많은 분이 여기에 공감하실 것"이라며 "올 시즌 감독님도 새로 오셨고, 선수들도 지난해보다 더 의욕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팬들에게 좋은 축구를 보여드리는 게 우리의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리=김희선 기자 kim.heeseon@joongang.co.kr 2021.01.04 16:5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